다음 주 일요일인 11월 17일은 순국선열의 날입니다.
그 유래는 ?대한제국이 일제에 외교권을 빼앗긴 을사늑약이 강제로 체결된 날이
1905년 11월 17일이고, 이날이 바로 순국선열의 날입니다.
물론 대한제국의 공식 강점은 1910년 8월 29일이지만
사실상 을사늑약을 체결한 날에 대한제국은 망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닙니다.
외교권이 없는 나라는 독립국가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순국선열의 날을 정한 주체는 상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입니다.
1939년 11월 21일 임시의정원 제31차 임시총회에서
"지청천, 차리석" 등 6분의 독립운동가가 11월 17일을 '순국선열공동기념일'로 정하자고
제안한 것이 계기였습니다.
이후 임시정부는 가능한 한 을사국치의 날에 순국선열을 추모하는 행사를 가졌습니다.
해방 이후에는 단독으로 행사를 갖기도 하고, 현충일 추념식에 포함되기도 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다가 1997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습니다.
작년(2018년)에는 서대문형무소에서 이낙연 국무총리가 참석하여
순국선열을 추모하는 행사를 가졌지만 일반 국민들의 기억에는 별로 없는 것 같아 글을 올립니다.
더하여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개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순국선열"이란 독립운동에 매진하시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보지 못하고 돌아가신 분들을 뜻하고,
"애국지사"는 살아서 8.15 광복을 맞은 분들을 뜻합니다.
즉 독립운동을 하다가 돌아가신 분들이 "순국선열"이고, 해방 때까지 살아계셨던 분들이 "애국지사"입니다.
의사, 열사, 지사에 대해서도 개념을 정리하면
"의사(義士)"는 무력이나 직접 행동으로 일제와 맞서 싸우다 돌아가신 분들,
즉 "안중근, 윤봉길, 이봉창" 의사 같은 직접 행동가를 뜻합니다.
원래 무력 사용이 임무인 군인에게는 이 호칭을 쓰지 않지만
의병중장 "안중근"님을 의사라고 하는 것처럼 명확히 구분하지는 않습니다.
"열사(烈士)"는 무력을 행사하지 않고 일제와 맞서 싸우다 돌아가신 "유관순, 이준" 같은 분들을 뜻합니다.
"의사와 열사"는 "순국선열"로 보시면 되고, 지사(志士)는 "애국지사"로 보시면 됩니다.
이상은 역사학자 "이덕일"님의 '우리 안의 식민사관'이라는 책에서 발췌하였습니다.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