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 머리카락을 가발 공장에 팔기 위해 줄을 선 여성들의 모습
울음을 터뜨리는 소녀를 같이 온 어머니가 달래고 있다.
6.25 전쟁을 겪지 않은 첫 세대인 1954년생이 국민학교에 입학했다.
전쟁을 모르는 첫 아이들이 한복을 차려입은 어머니들의 손을 잡고 교정으로 향하고 있다.
1962년, 모내기가 한창인 서울시 성동구 논현동 (현재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1동, 논현2동)
1963년, 평범한 남해 어촌의 풍경
방과 후 국민학생들이 들판으로 소를 끌고 나가 풀을 먹이고 있다.
큰 재산인 소를 배불리 먹이고 잘 데리고 오는 일을 수행하는 것이 당시 어린 학생들에게는 중요한 임무였다고 한다.
1964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턱걸이 연습이 한창인 교정.
하나라도 더 해내려 애를 쓰는 어린 학생들.
달리기를 겨루며 체육 활동을 하는 어린이들의 모습이 방영되었다.
고무신이 닳을까봐 맨발로 운동장을 달리는 학생들과 응원하는 친구들.
영유아사망률 1000명 당 218명. (2021년 세계 최악의 영아사망률을 기록하는 우간다의 2.3배였다.)
신생아 5명 중 몸이 약한 1명은 첫 돌을 넘기지 못하고 죽는 시대였다.
아이들에게 야외 활동을 장려하여 체력과 면역력을 기르자는 표어가 방송되었다.
1964년, 한국전력 직원들이 경상북도 영양군에 전봇대를 설치하고 있다.
전기의 혜택을 받지 못하던 가정까지 전기가 들어가는 모습이 방영되었다.
'보릿고개 넘기기 운동'이 한창인 시골의 분주한 모습.
전국적으로 문맹 퇴치를 위한 운동이 시작되었다.
경북 영덕군에 내려온 대학생들이 글을 모르는 주민들을 모아 읽고 쓰는 법을 가르치고 있다.
전국적으로 늘상 문제가 되었던 쥐떼 해결을 위해 '쥐잡기 운동'이 시작되었다.
잡힌 쥐를 보고 속이 시원하듯 웃는 어른들
1965년, 춘천 수력 발전소가 완공되었다.
산 능선에 올라선 시민들이 이를 지켜보고 있다.
당시 고등학교의 수업 모습.
포이어바흐의 유물론과 마르크스, 엥겔스 자본론에 대한 비판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1인당 국민소득에서 필리핀이 2배 이상 앞서던 시절, 거액을 들여 초빙한 필리핀 경제사절단이 내방 했다.
일렬로 도열한 한국 관료들의 90도 인사와 환대에 경제사절단 단장인 필리핀 농림상 로드리게스와 사절단들이 흡족하게 웃고 있다.
1965년 1월, 뉴스에서 가장 중요한 소식으로 다루었던 첫 1인당 국민소득 세자리 돌파(110달러)
1961년 70달러로 세계에서 두번째로 낮았던 1인당 국민소득의 증가를 새해 첫 뉴스로 꼽았다
지나치게 과장된 그래프가 어이없지만 당시에는 매우 큰 소식이었던 모양이다
1965년, 대한민국은 방글라데시를 2달러 차이로 처음으로 제쳤다
파독 광부 예비소집에 모인 인원들이 진지한 표정으로 설명을 듣고 있다
서독 탄광으로 떠나기 위한 광부 모집에 최종 합격한 20대의 젊은 광부들, 서독으로 떠나기 전 마지막 밤이다
배웅하는 가족, 지인들을 향해 거수경례를 올린 파독광부들이 태극기를 앞세우고 서독 프랑크푸르트행 비행기에 몸을 싣고 있다
한복을 입고 가족들을 향해 손수건 흔드는 파독 간호사들
이륙 준비를 하는 여객기. 공항에 모인 시민들과 가족들이 파독 광부, 간호사들의 무사귀환을 바라며 손을 흔들고 있다
훗날 코리아 엔젤이라 불리게 되는 파독 간호사들이 거동이 불편한 독일 환자들을 돌보고 있다.
40도가 넘는 온도, 지하 1200미터가 넘는 탄광의 끝자락에서 11시간의 작업을 끝마치고 나온 파독 광부들.
당시 파독 광부 평균 연령은 25세, 파독 간호사 평균 연령은 23세였다.
국군의 남베트남 파병이 결정되었다.
만 38세의 나이에 맹호부대 사단장 겸 주월한국군 사령관으로 임명된 채명신 소장(당시 38세, 6.25 참전)이 수통과 탄띠를 착용하고 출발 전 현충원에 묵념을 올리고 있다.
수도사단 맹호부대 - 소장 채명신 (당시 38세, 6.25 참전)
제9보병사단 백마부대 사단장 - 소장 이소동 (당시 38세, 6.25 참전)
해병 제2여단 청룡부대 여단장 - 준장 이봉출 (당시 39세, 6.25 참전)
1965년, 파병을 위해 도열한 수도기계화보병사단 (맹호부대) 병력들
전선으로 떠나는 제 9보병사단 (백마부대) 병력들
부동자세의 해병대 수색대 병사들
서울 시가지를 통과하는 파병 장병들을 향해 기도를 올리는 노인과 부채질을 해 주는 아주머니의 모습이 카메라에 담겼다
이화여대 총장 김옥길 여사와 이화여자대학교 학생들이 파병 장병들을 위해 쓴 문구가 방송되었다.
'조국 떠나 만릿길
겨레의 마음이
그대들의 방패가 되리
아세아(아시아)의 최정예,
우리 국군 가는 길
오직 승리뿐이다.'
베트남 전선으로 향하는 국군 수송을 위해 36개편의 열차가 동원되었다.
수송 열차가 지나는 역, 마을 어귀마다 장병들을 향해 손을 흔드는 시민들
대구역에서 잠시 정차한 수송열차
국군 장병을 위해 기차역에서 먹을 것을 나누어주는 중년 여성
한 병사가 역까지 배웅을 나온 어머니의 손을 붙잡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파월 1진 해병 청룡부대 제3대대 9중대장 김종세 대위 (중앙, 당시 38세)
박준교 상병 (왼쪽, 당시 22세), 정명국 일병 (오른쪽, 당시 21세)이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종세 대위 : "월맹 정규군 (북베트남 정규군)이 밀림에서 미군도 위협할 만큼 맹위를 떨치고 있고,
국군 장병들에 대해서 '단 한 사람도 살아서 돌아가지 못 할 것' 이라고 비방하고 있지만
산악에서 단련된 소부대 전술, 체력과 같은 신체능력, 실제 전투에서의 호전성은
우리 병사들이 크게 앞선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결코 두렵거나 하는 마음은 들지 않습니다."
마지막 승선 인원인 맹호 혜산진부대 소속 소대장 소위 최정길(당시 24세)이
부산시 부시장을 비롯한 환송 인원들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당시 국내 최대의 여성단체 한국 부인회 회원들이 맹호부대 장병들을 환송하고 있다.
'맹호'
'환송'
'이겨서 돌아오라'
떠나는 장병들을 환송하는 부산 시민들과 수송선 난간을 가득 메운 장병들
멀어지는 부산항을 바라보는 해병의 모습
1인당 국민소득 110달러의 농업국가,
38세의 사령관이 20대 초반의 병사들과 전선으로 향하던 날.
성대한 위문공연도, 거창한 위문품도 없었지만
국민들은 장병들의 무사귀환을 진심으로 빌어주었다
첫 국내 기술로 만든 라디오가 시판되었다. 납땜질에 열중하는 어린 여공들
주월 맹호부대 병사들이 시멘트로 만든 역기로 밀리터리 프레스를 하며 체력 단련을 하고 있다
대다수가 임관과 동시에 베트남 전선으로 파병될 ROTC 5기생 생도들이
대간첩작전에 참여한 경력이 있는 교관으로부터 산악 게릴라전 교육을 듣고 있다
'웃지않는 한국 해병들' - 미국 UPI 통신 보도
1967년, 짜빈동 전투에서 중대 병력으로
호치민 휘하의 월맹군 정예 제2단 1연대 1개 연대 병력과 맞붙어 승리한 해병 11주대 장병들이
미군의 초청을 받아 계단 위에서 미군의 위문 공연을 지켜보고 있다.
선글라스를 낀 정경진 대위 (당시 28세, 중대장)와 김용길 중사 (좌측, 당시 26세)
중앙에서 카메라를 노려보는 어느 청룡부대 11중대 병사가 카메라에 담겼다
1968년, 부산시 풍경
1968년, 서울의 모습
하늘에서 본 1968년 서울
첫 개통한 아현 고가도로의 모습. 자전거와 자동차가 함께 다니고 있다.
1969년, 한강철교 복구공사가 시작되었다.
작업에 열중하는 현대건설 노동자들의 모습.
서울과 부산을 잇는 한반도 최초의 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공사 현장의 모습
부족한 중장비 대신 인부들이 달라붙어 바위를 깨고 길을 닦고 있다
1969년 연말,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서 '포항제철소' 공사가 시작되었다.
영일만은 아직 허허벌판인체다.
1970년 1월 1일, 영일만 앞바다에 떠오르는 일출
'우리도 할 수 있다.
삼천만 하나된 힘,
역사를 바꾸리라.'
1970년, 대한민국 평균 연령은 22.9세였다.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