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구걸을 해서
얻어온 F-16
신난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덴마크 총리랑도 같이 타보고
네덜란드 총리랑도 같이 타보고
덴마크 총리, 네덜란드 총리 둘다 여자군요
유럽은 총리에 여자들이 참 많군요~~
국방부 장관에도 여자들이 있는 나라도 있지요.대다수는 아니지만...
공격용이 아닌 방어용으로 운용할 터이고
초기 제공국가는 덴마크, 네덜란드, 벨기에, 노르웨이입니다.
몇년에 걸쳐서 80대 정도이고요
내년에 20대가 도입된다고 하죠.
문제는 조종사 확보입니다.
기존 조종사들도 F-16 몰려면 최소기간이 1년이상이 걸린느데
영어도 못 하는 우크라이나 조종사들이 이 교육기간을 단축하기는 어렵다고 봐야죠
그래서 우크라이나 상공에 당장이라도 F-16띄울수 있는건 6대뿐이랍니다.
조종사 100명 확보하려면 2~3년 걸린다고 봐야합니다.
전력에 보탬이 되겠지만 러시아가 겁낼만한 전력은 아니라고 봅니다.
하지만, 러시아가 장악한 우크라이나 제공권을 위협할만 하겠죠.
열심히 구걸해서 이 정도면 머 국내 정치 입지는 나빠보이지는 않을거라고 봅니다.
우크라이나도 곧 대선이 있을거 같은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대선 공작 하리라는 것도 예상을 해볼수 있겠죠.
5년전 대선에서는 재선에 나선 포로센코, 전 총리였던 율리야 티모센코( 여자), 젤렌스키가 유력했죠.
포로센코는 우파, 율리야 티모센코는 우파이면서 강경파, 젤렌스키는 그나마 유연한 입장이었고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에서 젤렌스키가 지지세가 제일 강했었습니다.
이 말은 동부지역 러시아계들도 젤렌스키를 지지했다는 말입니다.
포로센코랑 젤렌스키가 결선에 진출했고 젤렌스키가 당선이 되었죠.
변수가 없다면 24년 우크라이나 대선에 젤렌스키 재선이 유력해보입니다.
BLOCK52이상은 아닐텐데요?
팍파는 논외로 치고요
제공 받는 F16들이 최신 기종도 아니고 구형들이고 대부분 국가들이 F35로 교체 하려고 하던 거라
이왕 도태 시킬 꺼면 빨리 도태시켜서 자기들 달라고 한거죠
그리고 수량도 많으니 정비나 군수 운용에도 용이하구요
대부분 구형이겠죠.
그래도 저 F-16에 암 미사일이라든가 에임 미사일이라든가
현역에서 날라댕기는 공대공 미사일은 다 장착은 된다고 합니다.
없는것 보다 낫고
러시아 전투기에 대응능력도 있다하니
없는 살림인데 F-16은 금상첨화겠죠.
우리나라 F16PB급 이상 성능은 기대하기
어려울지도...
bvr은 되나요?
저 전투기에 달 미사일도 제한할지 모르니깐.
미국 네오콘의 꼬심에 넘어가 나라 거덜내고 수많은 인명, 재산 피해를 입힌 사람으로 영원히 기억 될 듯
저 F 16 전투기 젤렌스키 가문에 가보로 남겨 영원히 고통 받기를 빌어 봅니다.
댁 입장에서는 젤렌스키는 나치니까 ㅋㅋ
젤렌스키의 주장 " 1991년의 영토를 되찾기 전에는 전쟁 못 끝낸다 ??
전쟁 시작 전 푸틴의 요구 " 동부 도네츠크,루한스크의 자치권을 인정하는 민스크 협정을 준수하고 나토에 가입하지 마라 "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막기 힘든 상황에 몰린 젤렌스키 ㅋㅋㅋ
혹시 님이 민스크 협정이 무엇인지 모르실까봐 알려 드립니다.
이 협정은 우크라이나, 러시아, OSCE의 대표 3명으로 구성된 우크라이나 삼자 연락 그룹이 계획했다.[5] 이 단체는 남동부 우크라이나의 평화를 추진하고자 할 목적으로 2014년 6월에 설립했다. 또한,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과도 함께 7월 31일, 8월 26일, 9월 1일, 9월 5일에 계속 회의했다. 9월 5일에 서명한 협정의 세부 사항은 6월 20일 우크라이나의 대통령 페트로 포로셴코가 제안했던 15개 평화 계획과 닮은 점이 많았다. 이 협정에 서명한 사람은 다음과 같다.[6]
스위스 외교관이자 OSCE 대표인 하이디 탈리아비니
우크라이나의 전 대통령이자 우크라이나 대표인 레오니드 쿠치마
우크라이나 주재 러시아 대사이자 러시아 대표인 미하일 주라보프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DPR)과 루간스크 인민 공화국(LPR)의 대표인 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와 이고리 플로트니츠키
러시아 굴복은 시간문제이네요 ㅎㅎㅎ
근데 저정도 사양이면 미국에서 표적기로 쓴다는 F16 아닌가
0/2000자